· 대게
특징 | 대게의 최대 크기는 평균적으로 수컷의 몸통 갑각 크기가 17~18cm 정도이며 암컷의 몸통 갑각 크기는 11.3cm정도이다. 대게의 몸통 갑각은 둥그스름한 삼각형 모양이다. |
서식 | 오호츠크해, 캄차카, 알래스카, 북미 서안, 그린랜드 등지의 수심 200~400m의 청정해역에 서식한다. 암컷의 성체와 미성숙 개체는 200~300m의 대륙 경사면에 주로 서식하며, 수컷의 성체는 300m 이상의 수심에 서식한다. |
짝짓기 | 첫번째 짝짓기의 경우 1~2월경 70~90m정도의 얕은곳에서, 2회 이상인 경우 2~5월경 수심 180m부근의 처음보다 깊은 곳에서 이루어진다. |
기타 |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류신, 아르기신, 리신, 메티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고 있어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이다. |
· 홍게
특징 | 붉은 대게는 종전에는 일반적으로 홍게라고 불리고 있다. 학명은 Chionoecetes japonicus, 영명은 Red Snow Crap이라고 한다. |
서식 | 한반도 동해안과 일본서해안, 러시아수역의 수심 500m에서 2,500m에 폭넓게 서식하고 있다. |
수명 | 10년에서 15년 정도이며 수컷은 성장과정에서 탈피를 반복한다. 대체로 11령까지 탈피 후 성체로 생존한다. |
기타 | 대게나 홍게의 암컷은 일명 빵게라고 하며 수컷에 비해 몸집이 1/3이하이며 배꼽에 알집을 푸고 있다. 암컷은 탈피회수가 적어 몸집이 수컷에 비해 작다. |
· 청게
특징 | 대게와 홍게 사이에 청게라고 불리는 이 게는 대게와 생김새가 비슷하다. 청게의 가격은 대게의 절반 정도이지만 맛은 떨어지지 않는다. |
색깔 | 청게의 배는 푸르스름하며 등은 붉은 색을 띤다. |
서식지 | 청게는 수심 800~900m의 바닷 속에서 산다. |
기타 | 강구 사람들은 "너도대게"라고도 부른다. "너도 대게를 닮은 척하는구나"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. |
· 왕게(킹크랩)
특징 | 킹크랩(왕게)은 그 크기가 어마어마하여 몸통의 갑각 길이가 약22cm, 너비가 약 25cm로 무게는 약 7.5kg 이다. |
생김새 | 배는 암수 모두 황색이며 7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윤곽이 이등변삼각형에 가까운 것은 수컷, 원형에 가까운 것은 암컷이다. |
서식 | 북극해, 베링해, 알래스카, 캐나다의 태평양 연안 및 오호츠크해, 일본, 연해주, 우리 나라 동해 등에 분포한다. |
수명 | 수컷의 수명은 약 30년, 암컷은 약 25년이다. |
기타 |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이며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주는 타우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. 또한 유방암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노화 방지 역할도 한다. |